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설문조사시스템
- 두잇
- 스마트폰 설문조사
- 최종기
- 설문설계
- 투표
- 대학생 설문
- 여론조사결과
- 무료투표
- 설문조사
- 카카오폴
- 대학생 설문조사
- 두잇서베이
- 온라인리서치
- 설문 솔루션
- 인터넷 설문조사
- 돈버는 어플
- 설문조사결과
- 설문조사 어플
- DOOIT
- 설문조사 어플리케이션
- 모바일 설문조사
- 언론조사
- 위치기반 설문조사 시스템
- 두잇서베이 어플리케이션
- 설문작성방법
- 오프라인 설문조사
- 설문조사 무료솔루션
- 여론조사
- 온라인 설문조사
- Today
- Total
두잇서베이 공식 블로그
[매일경제] "단톡방서 가짜뉴스 받아봤다" 44%…카톡은 규제 사각지대 본문
전국 성인 505명 가짜뉴스 인식조사
◆ 댓글·가짜뉴스가 삼킨 한국 ③ ◆
사실인 척 유포되는 가짜뉴스, 여론을 왜곡하는 댓글 조작으로 한국 사회가 흔들리고 있다. 포털,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블로그, 댓글까지 인터넷 모든 공간이 여론 조작에 휘둘리면서 민주주의 근간이 위협받고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특히 매일경제가 인터넷 여론조사기관인 두잇서베이와 공동 실시한 긴급 여론조사에 따르면 인터넷 이용자들은 포털에 게재된 뉴스에 붙은 '댓글'을 여론을 파악하는 지표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마디로 댓글 조작을 통한 여론 조작과 선동이 사회적으로 큰 영향력을 행사해 왔음을 확인할 수 있는 대목이다.
매일경제가 두잇서베이를 통해 23일 전국 20~59세 성인 500명 대상(표본오차 ±4.38%포인트, 95% 신뢰수준)으로 설문한 결과에 따르면 인터넷 댓글을 읽는 이유에 대해 가장 많은 응답자(47.2%)가 '다른 사람 의견을 확인하기 위해서'라고 답했다. 그 외 응답자들은 '재미로'(34.2%) '정보를 찾기 위해'(29.4%) '내 의견이 평균인지 파악하려고'(23%) '뉴스 밑에 보여서 어쩔 수 없이 읽는다'(11%)는 순이라고 밝혔다. 특히 다른 사람 의견을 확인하거나 내 의견이 평균인지 알아보려고 댓글을 읽는다는 등 여론 형성과 관련된 답변이 70%에 달해 댓글의 여론 파급력을 짐작할 수 있다.
또한 응답자 중 절반 이상(50.2%)은 일명 '베댓'이라고 불리는 베스트 댓글과 최고 공감 댓글을 읽은 후 의견이나 해석이 달라진 적이 있다고 답했다. '베댓'과 최고 공감 댓글이 다수 여론인 것처럼 받아들여지면서 사회 전반적 인식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가짜뉴스로 인한 여론 왜곡도 사람들은 심각한 문제라고 생각했다. 지난 20일 성인 505명을 대상(표본오차 ±4.36%포인트, 95% 신뢰수준)으로 가짜뉴스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결과 가짜뉴스로 인한 문제가 심각하냐는 질문에 전체 응답자 중 43.4%가 '매우 동의', 45%가 '약간 동의'한다는 의견이 88.4%에 달했다.
전체 응답자 중 77.4%는 가짜뉴스를 들은 경험이 있다고 했다. 각 유형에 대해 가짜뉴스로 생각하느냐고 물었을 때 SNS상에서 유포되는 정체불명 게시물에 대해서는 전체 응답자 중 74.3%가 가짜뉴스라고 판단했다. 카카오톡 등에서 유포되는 지라시 톡도 70.9%가 가짜뉴스라고 답했다. 또한 유튜브에서 상영되는 사실처럼 단정한 동영상에 대해서는 57.4%가 가짜뉴스라고 인식했다.
이와 함께 가짜뉴스를 믿느냐는 질문에 대한 응답도 주목된다. 응답자 중 9.7%는 가짜뉴스를 보고 '절대 아니다'라고 판단하고, 52.7%는 '우선 의심하고 본다'고 답했다. 하지만 30.7%는 '아니 땐 굴뚝에 연기 날까'라고 생각한다, 6.9%는 '진짜로 믿었다'고 답했다. 이는 가짜뉴스도 사실일 것이라고 믿는 사람이 10명 중 4명은 된다는 얘기다.
한편 가짜뉴스를 받은 경로를 고르게 했을 때 응답자들은 페이스북, 트위터 등 소셜플랫폼(47%), 인터넷 카페·커뮤니티·블로그(44.9%), 카카오톡·라인 등 모바일 메신저(44.4%)를 골랐다. 유튜브, 아프리카TV 등 동영상 플랫폼에서 가짜뉴스를 봤다는 사람도 32.1%에 달했다.
가짜뉴스가 이렇게 광범위하게 퍼져 있고 사람들 인식을 왜곡하지만 국내에서 가짜뉴스 유포를 차단할 효과적인 대안을 찾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가짜뉴스 주요 경로로 카카오톡, 라인 등 모바일 메신저가 꼽히지만 메신저는 지인끼리만 유통되는 특성상 수사기관이 모니터링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지난해 19대 대선 때 가짜뉴스를 집중 단속한 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외국에서는 페이스북이나 트위터 등 공개형 게시물 형태로 가짜뉴스가 유포되지만 한국은 카톡 등 개인 메신저로 가짜뉴스가 유통되고 있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사이버분석팀 관계자는 "카톡은 네이버 밴드, 카카오스토리보다 폐쇄성이 강하다. 카톡에서 가짜뉴스는 무차별적으로 빠른 속도로 유포되지만 외부 모니터링으로는 적발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면서 "지인 간에 메시지를 돌리는 것이기 때문에 가짜뉴스를 유포해도 그 허위성에 대한 경계심이 느슨해지기 때문에 더 활발하게 유포된다"고 우려했다. 특히 카카오톡 기능 중 단체 대화방, 일명 카톡 단톡방은 공개형 게시물과 비슷한 형태로 가짜뉴스가 급속히 유통되는 통로이지만 카카오 등 운영 주체들은 메신저라는 이유로 전혀 대응책을 마련하지 않고 있다.
또한 카톡을 통한 가짜뉴스 유포는 속도가 갈수록 빨라지고 있어 큰 문제다. 2016년 한 여성이 가수 이승기의 아이를 임신했다는 지라시를 경찰에 신고한 이승기 소속사 후크엔터테언민터트 관계자는 "연예인은 워낙 많은 소문에 시달리지만 당시 카톡을 통해 유포 속도가 너무 빠르고 온갖 카페나 SNS에도 올라가면서 그 범위가 점점 넓어져서 경찰에 신고했다"며 "수사 결과 최초 작성자 등이 처벌을 받았지만 가짜뉴스로 인한 가수와 일반인 피해자의 고통이 극심했다"고 했다.
영등포경찰서 사이버수사팀 관계자는 "수십 명이 모여 있는 단톡방에 가짜뉴스가 유포되면 그 방을 계기로 다단계식으로 급속도로 퍼져 나간다"면서 "유포자까지 수사하면 수많은 사람이 해당하기 때문에 최초 작성자를 잡는 식으로 수사가 이뤄지지만 가짜뉴스가 유포된 범위는 경찰이 파악하는 것 이상일 것"이라고 했다.
[특별취재팀 = 이선희 기자(팀장) / 이용건 기자 / 양연호 기자 / 이석희 기자 / 류영욱 기자 / 강인선 기자]
관련링크1
매일경제: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5&oid=009&aid=0004139402
관련링크2
YTN: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52&aid=0001151507
YTN라디오: http://radio.ytn.co.kr/program/?f=2&id=56185&s_mcd=0214&s_hcd=01
매일경제: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5&oid=009&aid=0004139413
'공지사항 > 언론보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포츠경향] 가정의 달 ‘지출금액’ 미혼보다 기혼이 2배 더 많아 (0) | 2018.05.09 |
---|---|
[국제신문] ‘가정의 달’ 평균 지출금액 2위 ‘어린이날’…1위는 ‘어버이날’ (0) | 2018.05.08 |
[파이낸셜뉴스] 은행원 점심시간 보장 논란... 직장인 절반 "평일 은행 가려고 '휴가' 사용" (0) | 2018.04.19 |
[파이낸셜뉴스] "캥거루족도 늙는다" 4050세대 캥거루족 비율↑ (0) | 2018.04.18 |
[한겨레] “미세먼지 대책 불만족…중국에 외교 압박 필요” (0) | 2018.04.10 |